임금 인상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것
Author: Incheon Law firm, Last Update: January 26, 2025.

임금 인상에 필요한 요소
◇최다의 ‘가격 인상’이 70%. 최다는 ‘제품·서비스 단가 인상’의 70.5%(5,467사 중 3,856사). 이하 '제품·서비스 수주 확대'의 59.9%(3,275사), '종업원 교육에 의한 생산성 향상'의 47.9%(2,621사)로 이어진다.
기업 규모별 생산성 향상
규모별로는 '종업원 교육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대기업 58.8%(420사 중 247사)에 비해 중소기업 47.0%(5,047사 중 2,374사)에서 11.8포인트 차이가 났다.
세제우대 및 보조제도 확충
'세제우대 확충'은 중소기업이 19.1%(964사)로 대기업의 11.1%(47사)를 8.0포인트 웃돌았고, '보조·조성제도 확충'은 중소기업이 18.2%(921사)로 대기업의 10.4%(44사)를 7.8포인트 상회했다.
기타 의견
'기타'에서는 '환율시장 안정(과도한 엔안 시정)', '인재배치 재검토(젊은 증원 등)', '부당연매(댐핑) 저지' 등이 나왔다.
직원 환원 방법
◇임금 인상 이외로, 어떻게 직원에게 환원하고 있습니까? 2024년도에 실시한, 혹은 내년도(2025년도)에 실시 예정의 내용에 대해서 회답해 주세요. (복수 답변)
환원 내용 비율
◇'특히 환원하지 않았다'가 37.4%로 톱, 다음 점에서 '소정 노동일수·시간 단축'이 35.2%로 나타났다.
환원책 응답 기업 수
2025년도에 실시하는 임금 인상 이외의 종업원에 대한 환원책을 들었다. 5,079개 회사로부터 답변을 얻었다.
환원 비율 세부 내용
구성비의 최고는 '특히 환원하지 않았다'의 37.4%(1,902사)로, 약 40%의 기업에서는 현재 임금 인상 이외로 종업원으로의 환원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정 노동일수·시간 단축 비율
이어 ‘소정노동일수·시간 단축’이 35.2%(1,788사), ‘자기연루수당 창설·증액’이 14.2%(724사), ‘식사보조 창설·증액’이 10.5%(538사)로 이어진다.
기업 규모별 환원책
규모별로는 ‘자사주 구매제도 창설·확충’은 대기업이 13.4%(373사 중 50사)로 중소기업의 2.3%(4,706사 중 110사)를 11.1포인트 웃돌았다.
소정 노동일수·시간 단축 규모별 비교
한편 ‘소정 노동일수·시간 단축’에서는 중소기업이 35.8%(4,706사 중 1,686사)로 대기업의 27.3%(373사 중 102사)를 8.5포인트 웃돌았다.
기타 환원 의견
'기타'에서는 '육아지원제도 확충', '물가 상승에 따른 수당지급', '인간독비용 보조', '사원여행 실시' 등의 의견이 있었다.
임금 인상 예정 기업 비율
2025년도 임상예정 기업은 85.2%로 2023년도(84.8%) 이후 최고치 갱신이 전망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인상 비율 차이
다만 ‘실시한다’가 대기업에서 92.8%와 90%를 넘은 반면 중소기업은 84.6%로 8.2포인트 차이가 있었다.
임금 인상 실현에 대한 요구
임금 인상 실시에 필요한 것은 대기업, 중소기업 모두 '가격 인상'이 70%로 톱이었다.
중소기업의 행정 지원 필요성
중소기업은 '세제우대, 보조·조성제도 확충'의 구성비도 높고, 행정지원을 필요로 하는 기업도 많다.
임금 인상 목표에 대한 자세
한편 '인재·설비투자에 의한 생산성 향상'으로 임금 인상을 목표로 하는 자세는 대기업보다 낮았다.
경영 지원 필요성
자금적 제약 등으로 자조 노력이 한계에 이르는 기업에는 경영상담이나 지원 등 행정, 금융기관 등의 동반 대응도 필요할 것이다.
임금 격차 문제
다만 행정의 과도한 개입으로 지원에 의존하는 기업이 증가하면 국내 전체의 혁신이 정체되는 사태도 초래할 수 있다.
임금 인상과 경쟁력
지속적인 임금 인상 실현에는 입장이 강한 발주 기업이 수주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민간 차원에서 상호 이해에 노력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젊은층 임금 인상
이번 조사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젊은층의 임금 인상에 주력하는 자세가 부각되었다.